반응형
10년간 목돈 만들기!
세 가지 목적별 투자 포트폴리오 정리
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, 통장에 돈만 묵혀두는 건 사실상 손해라고 하죠.
저는 매달 50만원 정도 여윳돈이 생길 때, 그 돈을 어떻게 굴리는 게 좋을까 고민하다가 10년 동안의 장기 투자 전략을 세워봤어요.
단순히 한 가지 방식이 아니라, 목적에 따라 나눠서 투자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고요.
그래서 비상금·중기 목표·노후자금 이렇게 세 가지 목적에 맞춰 월 50만원을 나누어 포트폴리오를 짜봤습니다.
✅ 월 50만원, 이렇게 나눴어요
목적월 납입금투자 유형투자 목적
1. 안정형 | 10만 원 | CMA, 국고채 ETF | 비상금/예비비 |
2. 중위험형 | 20만 원 | 로보어드바이저, ETF | 자녀교육, 창업 등 중기 자금 |
3. 공격형 | 20만 원 | S&P500, 나스닥 ETF, 연금저축펀드 | 장기 자산 형성/노후 대비 |
1️⃣ 안정형 포트폴리오 (10만 원)
💡 목적: 언제든 꺼내 쓸 수 있는 비상금 확보
- CMA 계좌 (5만 원)
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는 계좌예요. 예치금 유동성이 가장 좋아요.
(증권사: 한국투자, 미래에셋, NH투자 등) - 국고채 ETF (5만 원)
‘KODEX 국고채 10년’ 같은 상품은 금리가 안정적이에요. 적금보다 유연하게 운용 가능.
2️⃣ 중위험형 포트폴리오 (20만 원)
💡 목적: 5~10년 안에 사용할 중기 자금 마련
- 로보어드바이저 자동 투자 (10만 원)
투자 성향을 분석해서 ETF를 자동으로 골라주는 서비스예요.
(NH-로보포트, 키움영웅로보, 신한투자 MyBot 등 활용) - ETF 분산 투자 (10만 원)
- TIGER 미국S&P500 (5만 원)
- KODEX 글로벌리츠 또는 차이나CSI300 (5만 원)
글로벌 지수에 분산 투자하면 리스크는 줄이고 수익 가능성은 높일 수 있어요.
3️⃣ 공격형 포트폴리오 (20만 원)
💡 목적: 10년 이상 장기 투자로 자산 불리기
- 연금저축펀드 (10만 원)
장기 복리 + 세액공제 혜택까지! 노후 준비 겸 절세 효과도 볼 수 있어요. - 나스닥100 ETF (10만 원)
예: TQQQ, QQQ, KINDEX 미국나스닥100
기술주 중심의 ETF는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죠.
📈 그럼, 10년 후엔 얼마나 모일까?
투자유형총 투자액연 수익률 가정예상 수익금
안정형 | 1,200만원 | 2.5% | 약 1,360만원 |
중위험형 | 2,400만원 | 6% | 약 3,230만원 |
공격형 | 2,400만원 | 9% | 약 3,800만원 |
🧾 총합: 약 8,390만원 (원금 대비 약 +39% 수익 예상)
✍️ 마무리하며
10년이란 시간은 길다면 길고, 짧다면 짧을 수 있어요.
하지만 매달 50만원이라는 비교적 적은 금액도 목적을 나누고, 전략적으로 투자하면 꽤 큰 자산으로 자랄 수 있다는 것이 놀라웠어요.
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, 하나하나 준비해 나가다 보면 자신만의 투자 루틴이 생기고, 재테크에 대한 자신감도 붙더라구요.
혹시 여러분은 어떤 목적을 갖고 돈을 모으고 계신가요? 모두가 생각은 했지만 이렇게 저렇게 미루고 했던 목돈 마련 !
큰마음먹고 함께 도전해봐요!
반응형